로고

세계천부사상협회
로그인 회원가입

천부경 역사

장구한 천부경의 역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서기전 25858
    - 천부(天符) 역법(曆法), 후천 역법 시작 (윷놀이 판)
  • 서기전 15000
    - 고인돌 윷놀이판, 볍씨, 흑피옥.
  • 서기전 10000
    - 오키나와 해저 피라미드 유적('서기전 10000년경~'서기전 1000년경 추정)에 81자 상형문자 발견.
  • 서기전 7197
    - 한국(桓國)시대('서기전 7197 갑자~'서기전 3897) 천부경 81자 정립, 삼일신고(三一神誥) 366자, 참전계경(參佺戒經) 366조, 한웅도(桓雄道=天雄道)경전.
  • 서기전 3897
    - 배달나라(檀國)시대 ('서기전 3897 갑자~'서기전 2333) 한웅 천왕이 천부경(天符經:천경), 삼일신고(三 一神誥:신고), 참전계경(參佺戒經:전계)으로 웅족(熊族)과 호족(虎族)을 교화하여 전쟁 종식.
  • 서기전 3897
    - 신지 혁덕(神誌赫德)의 녹도문(鹿圖文) 천부경(天符經)비(신지혁덕의 篆碑文 천부경)
    - 한단고기 태백일사 소도경전 본훈 참조
  • 서기전 2333
    - 조선(朝鮮, '서기전 2333무진~'서기전 232년) 천부경 기록 < 단기고사, 한단고기, 삼성기전 참조 >
  • 서기전 2225
    - 병진년 마한 백아강 남산 삼일신고비 < 한단고기 태백일사 마한세기 상 참조 >
  • 서기 400
    - 신라 초기 박제상, 부도지(符都誌) 등 징심록(澄心錄) 15지 저술 (조선 초기 영해 박씨와 교류하던 김시습 선생이 징심록 추기에서 천부경과 관련된 금척(金尺)을 설명하고, 훈민정음 한글 28자를 징심록에서 취본 하였음을 기록함.)
  • 서기 738
    - 대진국(大震國. 발해) 문황제(文皇帝)가 태학(太學)설립(천부경과 삼일신고 가르침) < 한단고기 태백일사 대진국본기 참조 >
  • 서기 900
    - 묘향산 석벽에 새긴 천부경
    - 신라 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선생(857~?)이 단군 천부경(단군조선 신지가 비석에 새겼다는 천부경, 소도경전 본훈 기록상 한웅 천왕 때 신지 혁덕이 새긴 천부경임)
    - 전비문(篆碑文)을 보고 묘향산 석벽에 번역하여 새긴 고문체 천부경 < 한단고기 태백일사 소도경전 본훈 참조 >
  • 서기 1380
    - 고려 말
    - 농은(農隱) 민안부(閔安富 1328~1401) 선생의 갑골문 천부경, 민홍규 선생이(농은유집/農隱遺集)에 실린 천부경 공개.
    - 목은(牧隱) 이색(李穡)선생, 복애 범세동(氾世東. 氾樟)선생의 천부경 주해
    - 고려 말 함허대사, “천지인 삼재가 하나의 도” < 한단고기 태백일사 소도경전 본훈 참조 >
  • 서기 1480
    - 조선 초기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천부경(天符經)의 수리(數 理)와 관련된 금척(金尺)에 대한 글을 남김. < 징심록추기 참조 >
  • 서기 1500
    - 조선 초기 이맥(李陌. 1455~1528)태백일사 편저
    - 소도경전 본훈에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 실음.
    - 년경 조선 초, 중기 남사고(南師古. 1509~1571) 선생의 격암유록(格庵遺錄)에 '천부경은 眞經'
  • 서기 1850
    - 조선 후기
    -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7~1879) 선생의 전비문(篆碑文) 천부경(김형탁, 단군 철학 석의), 이맥 선생 태백일사본 천부경의 별파 소장본 추정.
  • 서기 1898
    - 단해(檀海) 이관집(李觀輯), 운초 계연수(단군세기, 태백유사)
  • 서기 1899
    - 계연수(桂延壽 1864경~1920)선생의 천부경요해발(天符經要解跋)
  • 서기 1905
    - 충남 아산 죽림선원에 천부경 석각
    - '광무 9년', '一始無始一’,‘一積十鉅' 천부 경문 석각 발견
  • 서기 1911
    - 천부경에 실린 한단고기(이맥 선생의 태백일사 소도경전 본훈), 단학회(檀學會) 설립자 이기(李沂 ,1848~1909)선생 감수로 계연수(桂延壽 1864경~1920)선생이 홍범도 (洪範圖 1868~1943), 오동진(吳東振 1889~1944) 두 벗의 도움으로 간행.
  • 서기 1912
    - 홍범도, 오동진, 천부경 찬(讚)
  • 서기 1914
    - 이관집(천부경 직해)
  • 서기 1916
    - 9월 9일 운초 계연수 선생이 10여 년간 약초를 캐다 고운 최치원 선생이 묘향산 암벽에 고문체로 새겼다는 천부경 발견, 탑본(揚本)함.
  • 서기 1917
    - 1월 10일 계연수 선생이 서울에서 온 사람을 통해 서울의 단군교(檀君敎))에 천부경 탑본 전달.
  • 서기 1919
    - 단군교 대선사 윤효정(尹定 1858~1939)선생이 중국에 망명한 전병훈(全秉薰 1857~1927) 선생에게 천부경 전달.
  • 서기 1920
    - 전병훈(全秉薰 1857~1927)선생이 천부경을 1년여 연구 후 천부경 해제를 정신철학통편(精神哲學通編)에 실어 출간, 북경대 도서관 및 세계 100여 국에 책을 보내 천부경 전파.
    -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의 몇 글자가 정신철학 통편에 실린 천부경의 글자와 다름 1911년 발간된 한단고기 소도경전 본훈의 천부경 글자와 일치함.
  • 서기 1920
    - 일암(一菴) 김형탁(金炯鐸), 노사 기정진에서 이승학으로 전해진 천부경 얻음.
  • 서기 1920
    - 이후 유교, 불교, 도교 인사들의 천부경 해석.
  • 서기 1921
    - 11월 단군교 기관지(단탁/檀鐸)에 계연수 선생이 단군교에 전한 편지와 천부경 실음
    - 전병훈 선생의 천부경과 동일.
  • 서기 1921
    - 계명구락부에서 발행한 잡지 '啓明' 4호에 대종교 신도 한별 권덕규(權悳奎 1890~1950)의 단군천 부경주해(檀君天符經註解)
  • 서기 1922
    - 유학자인 김택영(金澤榮 1850~1927)의 (소호당전집, 단씨 조선기)에 천부경 전문 및 주석. (전병훈 선생의 천부경과 동일.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 소장자로 알려 짐.)
  • 서기 1922
    - 일수암(一修庵) 박동호(朴東浩 1897~1991)선생이 후일에 천부경 사상 성인으로 추존한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 선생의 문인이 되심.
  • 서기 1923
    -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 1855~1923) 선생의 석곡집 천부경 해제.
  • 서기 1925
    - 대종교 김용기(金容起), 단전요의(檀典要義)에서 천부경 언급.
  • 서기 1925
    - 대종교 남도 본사의 총책임자인 강우(姜虞 1862~1932)의 정해 천부경.
  • 서기 1925
    -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선생이 동아일보 연재의 조선사연구초 (朝鮮 史硏究草)에서 천부경을 후대의 위작으로 언급.
  • 서기 1926
    - 최치원 선생의 후손 최국술(崔國述)이 (최문창후전집(崔文昌侯全集), 고운 선생 사적 편 단전요의)에 단전요의본(김용기)의 천부경을 실음. (한자 음은 같으나 다른 글자 있음.)
  • 서기 1930
    - 퇴경당(退耕堂) 권상로(權相老), (조선종교사) 천부경
  • 서기 1930
    - 단암(檀菴) 이용태(李容兌. 1890~1966) (천부경도석주해/天符經圖析註解)
  • 서기 1930
    - 초대 종교 독립군, 백두산 장군봉에 대리석 천부경 매립.
    - 독립군 사이에 천부경 공유.
    - 2020년에 북한 발굴.
    - 농은민안부본 갑골문 천부경과 글자 완전 일치.
  • 서기 1931
    - 단재 신채호 선생이 조선일보 연재의 조선사(朝鮮史)에서 천부경, 삼일신고를 진서(眞書)로 인정하여야 한다는 취지로 언급.
  • 서기 1931
    - 박동호 선생이 이상규(李相珪)선생의 천부경 주해를 접함.
  • 서기 1934
    - 성재(省齋) 이시영(李始榮 1869~1953) 감시만어(感時漫語)에 천부경 전문 소개.
  • 서기 1937
    - 6월 28일, 노주(蘆洲) 김영의(金永毅 1887~1951), (단군교부흥경락(檀君敎復興經略), 천부경 주해)
    - 독립운동가 홍범도(洪範圖 1868~1943), 여운형(呂運亨, 1886~1947)등의 '천부경찬(天符經讚)' 등
  • 서기 1940
    - 대종교, 교단 차원의 천부경 수용 추정.
  • 서기 1947
    - 6월 박동호(朴東浩. 1897~1991)선생이 묘향산 안내 지도를 지니고 묘향산을 직접 답사하여 보현사 부근 암벽에서 최치원 선생이 새긴 천부경을 계연수 선생 다음으로 발견하여 손으로 직접 만져 봄. 그 증거로 천부경 세계평화 일체 상비 2상을 새겼는데 현재 퇴계원 천부 성전 및 태백산 만덕사에 각 각 실존함.
  • 서기 1940
    - 묘향산 안내 지도를 40여 년간 품에 안고 다니며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의 실존을 증언함. 안내 지도는 현 박종구 단수일도학회 이사장이 전수함.
    - 김일훈(金-勳), 묘향산 석벽본 확인하였다 함.
    - 최근 북한 김일성대학에서 묘향산 천부경 석비를 발견하였다고 (사)남북경협경제인연합회에 전해 옴.
  • 서기 1949
    - 이유립(李裕岦 1907~1986), 천부경요해 후서.
  • 서기 1952
    - 심당(堂)이고선(李固善), (홍익대전, 천부경주해)
  • 서기 1953
    - 이유림 선생의 천부경연해
  • 서기 1956
    - 일암(一菴) 김형탁(金炯鐸), (단군철학석의(檀君哲學釋義) 천부경
  • 서기 1958
    - 일청(一晴) 성세영(成世英, 1878~1958), 천부경주해, 符印經, 천부경도해
  • 서기 1960
    - 일수암(一修庵) 박동호 선생, 경기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 산 4-11 소재 가묘 상석에 새긴 천부경.(한단고기 태백일사 소도경전 본훈의 천부경과 일치)
  • 서기 1963
    - 정인탁(鄭仁卓 1868~1953), (창고집 제2권, 천부경서, 천부경 해제)
  • 서기 1965
    - 명곡(明谷) 류정기(柳正基), (동양사상사전, 천부경)
  • 서기 1967
    - (정미 10월 3일) 위병식, 천부경 휘호.
  • 서기 1968
    - 2월 백운(白雲) 한규성(韓圭性), (천부경서 천부경해제)
  • 서기 1968
    - 7월 문홍모 연구(淵九) 최용(崔鏞), (고금관아단심전, 천부경주해)
  • 서기 1975
    - 대종교(大倧敎), 천부경의 기본 경전 공식화.
  • 서기 1976
    - 이유립, 커발한문화사상사, 단단학회.
  • 서기 1977
    - 조영주(曺英周), 천부경 직해로 본 이단해 사상.
  • 서기 1978
    - 박동호, 천도교유지재단에 천부경 봉송 조건 재산출연.
  • 서기 1978
    - 단촌(檀村) 이석영(李錫暎), 단국易筮학사연구초
  • 서기 1979
    - 이유림 선생의 천부경 해설(대배달 민족사)
  • 서기 1982
    - 최재충(한민족과 천부경)
  • 서기 1984
    - 천부경 할아버지로 알려진 천부경 성자(聖者) 박동호 선생이 '국조단군한왕검 천부경 홍익인간문화 전통주체사상 세계평화일체상비(國祖檀君桓王儉天符經 弘益人間文化 傳統主體思想 世界平和一體像碑)'에 국조 단군을 비롯하여, 박혁거세(朴赫居世), 석가(釋迦), 노자(老子), 공자(孔子), 예수, 최치원(崔致遠), 이황(李滉), 최제우(崔濟愚), 전우(田愚), 프랑크 북맨, 이상규(李相珪), 전병훈(全秉薰) 선생 등 12인을 천부경(檀水一道) 성인(聖人)으로 한 석조물 2쌍 조성, 하나는 경기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 산 4-11(단수일도학회 천부성전)에 다른 하나는 박동호 선생 고택에서 태백산 만덕사로 옮겨짐.
  • 서기 1985
    - 최재충, 우리얼 우리말 우리글, 한민족
  • 서기 1985
    - 최재충, 천부경과 수의 세계, 한민족
  • 서기 1986
    - 박동호, 현정회에 천부경 봉송 조건 유증
  • 서기 1987
    - 이유림, 대배달민족사 3권
  • 서기 1987
    - 김상일, 승랑의 이체합명론과 천부경, 한철학 연구
  • 서기 1988
    - 박동호, 한국평생교육기구에 천부경 봉송 조건 유증
  • 서기 1990
    - 6월 29일 박동호, 천부경 세상 실현을 위한 단수일도학회 재산 출연 창립.
  • 서기 1990
    - 기독교계 천부경 해석 시도.
  • 서기 1991
    - 3월 14일 박동호, 천부경 세상 실현을 위한 단수일도학회에 유증.
  • 서기 1991
    - 최재충 (구조수학원론, 구조인체학), 구조인체연구회 (천부경 수리에 따른 구조수학원리, 구조로서의 태양계 및 시표, 인체구조와 체질학 등 저술.)
  • 서기 1995
    - 이시영, 감시만언, 일조각
  • 서기 1996
    - 이천효, 천부경본의해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서기 1997
    - 전승문, 천부경에 나타난 삼재 사상과 Raimn Panikkar의 삼위일체 해석학의 비교연구, 감리교 신학대
  • 서기 2002
    - 민홍규, 농은 민안부 선생의 갑골문 천부경 공개.
  • 서기 2004
    - 최동원, Cheon Bu Gyeong Original Text 천부경원전, 천지성지사
  • 서기 2005
    - 김지목, 천부경의 신학적 해석, 한신대 신학 전문 대학원
  • 서기 2008
    - 최동환, 구길수, 반재원, 윤덕원, 송래선, 이찬구 공저, 새로운 천부경 연구,(재)국제교류협회
  • 서기 2016
    - 11월 9일, “천부경으로 인간이 바로 서야 한다” 천부경 특강 및 학술강연회 (사단법인 천부경 연구원)
  • 서기 2020
    - 2월 28일, 북한 백두산 장군봉에서 1930년대 대종교 독립군이 묻었다는 천부경 대리석본 발굴, 농은 민안부 선생의 갑골문 천부경과 완전 동일함.